본문 바로가기
AWS

[AWS] AWS 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무엇일까?

by jinjin98 2022. 12. 1.

 AWS 

 

AWS 는 Amazon Web Service 의 약자를 말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중 하나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서버, 저장소,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등과 같은

컴퓨팅 서비스를 인터넷(클라우드)로 제공하는 방식인데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아마존의 AWS,

마이크로소프트의 Acuze(애저), 구글의 GCP, 네이버의 NCP 등이 있씁니다. 이들은 컴퓨터 한 대를 통째로

임대하는 것이 아닌, 가상화 기술을 사용해서 수많은 컴퓨터를 클라우드 형태로 합친 다음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만큼

작은 조각들로 떼어서 임대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사용하면 필요에 따라 사용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서버 사용에 필요한 어려운 기술 요소들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자체적으로 서버 전문가를 두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자사 또는 개인 서비스를 쉽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업체가 '어디까지' 해주느냐에 따라 각 서비스는 3가지 종류중 1개를 갖게 됩니다.

 

Iaas(이아스, 아이아스)

클라우드를 이용해서 서버용 인프라, 즉 가상화된 서버 컴퓨터를 대여해주는 서비스입니다. 단순 호스팅과 크게 다를게

없어 이용자가 대여받은 서버에 보안, 네트워크 등 각종 설정부터 소프트웨어 설치, 서비스 실행 및 관리까지 직접 수행

해야합니다. 사용자의 자유도가 높은만큼 손이 많이 가는서비승입니다. AWS 의 EC2 가 대표적인 이아스입니다.

 

Paas(파스)

Paas 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한 서버, 운영체제, 개발 환경 등을 자동으로 설치하고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개발이만 집중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Paas 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인프라 구축과 유지 비용 등을 고려할 필요 없이 소프트웨어만 개발하면 쉽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배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Paas 로는 AWS 의 Beanstal빈스톡) 와 HeroKu(헤로쿠) 가 있습니다.

Beanstalk 와 HeroKu 를 사용하면 별도의 서버 관련 작업 없이 프로그래밍한 소스 코드를 업로드해서

웹사이트와 같은 온라인 프로그램을 서비스할 수 있습니다.

 

Saas(싸스)

Saas 는 소프트웨어가 이미 완성된 형태로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이용자가 Saas 를 이용하기 위해

따로 인프라나 개발 환경을 구축할 필요 없이 사용료만 지불하면 이미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Iaas 나 Pass 와 달리 초기 구축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제공 업체가 만들어

놓은 서비스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기능이 비용에 포함되어 있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Saas 로는

구글드라이브, 네이버 N 클라우드, 드롭박스, Ms 오피스 365 등이 있습니다.

 

AWS 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웹 사이트나 업무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컨텐츠 외에도 대부분의 기능과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AWS 의 특징은 여러 사업자에게 각각 빌려야 했던 인프라를 일괄로 빌릴 수 있다는 것과

운영체제나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에 필요한 소트트웨어까지 통째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AWS 의 장점

 

1. 서비스를 조합하기 쉽습니다.

AWS 는 165개 이상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어떤서비스를 구축할 때 AWS 가 제공하는 서비스만으로도

필요한 기능을 대부분 구축할 수 있으며, 여러 서비스를 조합하여 구축하기도 쉽습니다.

특히 서비스를 서로 연동하는 부분은 매년 강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AWS 와 AWS 외부의 시스템, 네트워크를 연동하

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서버의 일부만 AWS 를 사용하거나 사내 LAN 과 AWS 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2. 종량제이므로 사용할 만큼만 빌릴 수 있습니다.

AWS 의 요금은 종량제이므로,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게 기본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사용할 양을 미리 생각하지 않고

우선 현재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고, 부족해지면 그떄마다 추가하면 됩니다.

 

3. 전문가가 아니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WS 는 기술을 잘 모르는 사람도 운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매우 큰 규모가 아니라면

네트워크가 서버 저문가가 아니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컴퓨터 웹 브라우저에 접속하여 조작하기 때문에

인터넷이 가능한 곳이라면 언제 어디서든 조작할 수 있습니다.

 

4. 보안 기준 

AWS 는 각국과 글로벌의 규정 준수에 대해 인증 및 검증되어 있고 법령, 규정, 프라이버시 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ISMS(한국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을 취득하여 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이것이 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 혼자 공부하는 얄판한 코딩지식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댓글